- 리덕스 미들웨어 청크란
해당 미들웨어는 객체 대신 함수를 생성하는 액션 생성함수를 작성할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리덕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액션 자체를 디스패치합니다.
일반 액션생성자는 파라미터를 가지고 액션 객체를 생성하는 작업만 합니다.
만약 특정 액션이 몇초뒤에 실행하게 하거나, 현재 상태에 따라 무시되게 하려면 일반 액션생성자로는 할 수 없습니다.
redux-thunk 는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동작방식을 활용하여 Redux에서 비동기적인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비동기와 프로미스 차이
비동기 처리를 위한 하나의 패턴으로 콜백 함수를 사용한다.
하지만 콜백 패턴은 가독성이 나쁘고, 비동기 처리 중 발생한 에러의 예외처리가 곤란하며,
여러개의 비동기 처리 로직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또 다른 패턴으로 프로미스(Promise)를 도입하였다.
프로미스는 비동기적으로 요청한 결과(성공/실패)를 나타내는 객체로서,
콜백 패턴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며, 비동기 처리 시점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 tmz
TDZ는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의 사각지대 구간을 뜻한다.
비유하자면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 사이에 잠시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let과 const는 var와는 다르게 선언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따로 분리되어 실행된다.
그래서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 사이에서는 실행 컨텍스트에는 변수를 등록했지만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라 `ReferenceError` 가 나오는 것이다.
이런 사각지대를 TDZ(Temporal Dead Zone) 라고 하는 것이다.
- rest API 의 정의와 특징
정의=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
특징=사내 시스템들도 REST 기반으로 시스템을 분산해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높여 유지보수 및 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REST는 HTTP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하므로, HTTP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언어로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REST API를 제작하면 델파이 클라이언트 뿐 아니라, 자바, C#, 웹 등을 이용해 클라이언트를 제작할 수 있다.
- rest api에서 rest의 구성요소와 그에 따른 특징과 설명
자원 : URL
1.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한다.
2. 자원을 구별하는 ID는 ‘/groups/:group_id’와 같은 HTTP URL이다.
3. Client는 URL를 이용해서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한다.
행위 : http methid
1. HTTP 프로토콜의 Method를 사용한다.
2. HTTP 프로토콜은 GET, POST, PUT, DELETE와 같은 메서드를 제공한다.
표현: represrntation of resource
1. Client가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요청하면 Server는 이에 적절한 응답(Representation)을 보낸다.
2. REST에서 하나의 자원은 JSON, XML, TEXT, RSS 등 여러 형태의 Representation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3.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 파싱이란?
다른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1. XML, JSON : 데이터를 표현하는 문자열
2. JSON 파싱 : JSON 형식의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하는 것
'이노베이션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21 (0) | 2022.08.21 |
---|---|
22.08.14 (0) | 2022.08.14 |
8월 첫째주 (0) | 2022.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