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참 -> 파일 -> new project

2번째 #venv가 잘되어있는지 확인 없으면 써넣기

base interpreter 부분에 파이썬 3.8 확인

 

create누르면 1분정도 뒤에 세팅이 완료됨

venv파일이 저절로 생성되어있음

 

2. flask 프레임워크 설치

세팅이 완료되면

app.py(파이썬파일) 만들기 - -통상적으로 서버를 돌아가게 하는 파일을 app.py라고 만이들 씀--

 

서버에 프레임워크라고 하는 flsk패키지 설치

파일 -> 설정 ->

 

3.flask 시작 코드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This is Hom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cs

코드

코드 넣어주고 실행시키기

- 오른쪽 클릭 -> run

- 또는 ctrl+shift+f10

 

4. localhost:5000으로 서버의 결과물 확인

내가 지금 내 컴퓨터에서 서버를 돌리는중

그리고 내가 지금 내 컴퓨터에서 다른 브라우저를 열어서 접속한것임

컴퓨터를 하나 더 살순 없으니까

 

localhost:5000에서 5000은 '포트'임

포트는 항구라고 볼수있음 "5000번 문"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설계하기  (0) 2022.06.07
api 만들기 (get연습)  (0) 2022.06.07
API 만들기 (get, post)  (0) 2022.06.03
html파일 주기  (0) 2022.06.03
flask  (0) 2022.05.31

모든 프로젝트를 하기전에 api를 설계하는게 최우선임

우리 서비스에 어떤 기능이 필요하고 어떤 순서로 구현을 할지를 설계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시작하기-서버만들기  (0) 2022.06.12
api 만들기 (get연습)  (0) 2022.06.07
API 만들기 (get, post)  (0) 2022.06.03
html파일 주기  (0) 2022.06.03
flask  (0) 2022.05.31

체크된 부분은 잠깐 값을 담는 변수이기 때문에 보기좋게 쓰면됌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시작하기-서버만들기  (0) 2022.06.12
api설계하기  (0) 2022.06.07
API 만들기 (get, post)  (0) 2022.06.03
html파일 주기  (0) 2022.06.03
flask  (0) 2022.05.31

GET = 통상적으로 테이터 조회를 요청할때

URL 뒤에 물을표를 붙여 KEY=VALUE로 전달

예) google.con?q=북극곰

 

POST = 통상적으로 데이터 생성, 변경, 삭제요청을 할때

바로 보이지 않는 HTML body에 key:value형태로 전달

 

api만들기

 

GET

get요청 api 코드

@app.route('/test', methods=['GET']) def test_get(): title_receive = request.args.get('title_give'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msg''이 요청은 GET!'})
cs

get요청 확인 ajax코드(콘솔창에 입력)

$.ajax({
    type: "GET",
    url: "/test?title_give=봄날은간다",
    data: {},
    success: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
  })
cs

 

response = 서버에서 내려주는 값

 

"title_give로 갖고온거 값 가져와봐"라는 뜻 통째로 이해

 

POST

post 요청 api 코드

@app.route('/test', methods=['POST'])
def test_post():
   title_receive = request.form['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msg''이 요청은 POST!'})
cs

 

post 요청 확인 ajax코드

 

$.ajax({
    type: "POST",
    url: "/test",
    data: { title_give:'봄날은간다' },
    success: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
  })
cs

get의 title_giv로 가지고 온 값 한번 여기다가 찍어줘바랑 같은 역할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쪽에 에러가 났다는 뜻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시작하기-서버만들기  (0) 2022.06.12
api설계하기  (0) 2022.06.07
api 만들기 (get연습)  (0) 2022.06.07
html파일 주기  (0) 2022.06.03
flask  (0) 2022.05.31

프레임워크를 사용할땐 정해진 규칙을 따라주어야 함

 

flask는 대표적으로 정해진 폴더 구조가 있음

static = css나 이미지 파일을 담아둘때 사용

templates = html파일들을 담아 두는 곳(index.html)

 

render_template 을 쓰면 자동으로 templates폴더 안에 있는 index.html파일을 가져다가 클라이언트에게 줌

 

/가 숨겨져있을뿐 같음

@app.route('/')로 들어오고 home이라는 함수가 실행이 됌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시작하기-서버만들기  (0) 2022.06.12
api설계하기  (0) 2022.06.07
api 만들기 (get연습)  (0) 2022.06.07
API 만들기 (get, post)  (0) 2022.06.03
flask  (0) 2022.05.31

파일 > 뉴프로젝트 

3.8확인

서버를 돌아가게 하는 파일은 app.py(파이썬 파일)이라고 통상적으로 많이 씀

 

서버에 프레임워크라고 하는 flask 설치

 

크롤링처럼 남이 만들어둔 라이브러리를 쓰듯이 프레임워크를 가져다 씀

 

라이브러리 = 내가 내맘대로 짜는데 중간중간에 남이 만들어둔걸 가져다 쓰니 편함

프레임워크 = 남이 짜둔 규칙이나 틀 안에서 자유롭게하니 편함

 

통상적으로 프레임워크는 하나의 프레임워크 안에서 짜게되고 그안에서 라이브러리는 100개든 1000개든 갖다 쓰는것임

 

 서버 만들기

FLASK 시작 코드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This is Hom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cs

주소창에 localhost:5000이라고 치게 되면 내가 만든 서버의 결과물이 나옴

정상 작동중

 localhost:5000 으로 내가 지금 내 컴퓨터에서 서버를 돌리고 있음

그리고 내가 지금 내 컴퓨터에서 다른 브라우저를 열어서 접속한 상태 왜?컴퓨터를 두대 살순 없으니까

 

5000이라는 숫자는 포트 라는 개념

나라에도 항구라는게 존재하듯 인터넷 세상에다가 뚫어놓은 문같은 개념

뚫어 놓은 문의 번호들이 있는데 이건 5000번 문으로 뚫어 둔 상태

 

5001,5002로 바꾸고 해당 숫자로 접속이 되긴 하지만

거의 대부분 이미 정해진 번호를 갖고 있음 괜히 만졌다가 

컴퓨터에서 이미 돌아가고 있는 다른 번호들하고 곂쳐서 기존 내것이 안돌아갈수도 있음

 

 

첫 서버 만들었음!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나의 첫 서버!'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cs

재미난거

이렇게 코드 만들고 localhost:5000/mypage를 치면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나의 첫 서버!'
 
@app.route('/mypage')
def mypage():
   return 'mypage입니다'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cs

 

이렇게 나옴! 뭔가 그럴싸~

더 재밌는거!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button>나는 버튼이다</button>'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cs

 

'로컬개발환경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시작하기-서버만들기  (0) 2022.06.12
api설계하기  (0) 2022.06.07
api 만들기 (get연습)  (0) 2022.06.07
API 만들기 (get, post)  (0) 2022.06.03
html파일 주기  (0) 2022.06.03

+ Recent posts